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

본문 바로가기

top

현재 위치
  1. 게시판
  2. 한과이야기

한과이야기

한과이야기입니다.

게시판 상세
제목 한과의 유래와 역사
작성자 이가네타래과 (ip:)
  • 평점 0점  
  • 작성일 2011-11-28 09:36:34
  • 추천 추천하기
  • 조회수 745

한과란 ?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과자 즉 유과, 유밀과, 숙실과, 과편, 다식, 전과, 엿강정 등 보편적으로 알려진 우리의 전통과자를 한과류(韓果類)라 부른다.

양과(洋果) 외래과자와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.

우리나라의 경우 삼국시대까지 과자에 대한 문헌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과일이 없는 계절에는 곡식가루로 과일형태를 만들어 제수로 대신 사용했으며, 신문왕 3년(683년) 왕비를 맞이할 때 폐백 품목으로 쌀, 꿀, 기름 등 과자에 필요한 재료가 있었던 것으로 미루어 이 시기에도 이미 과자류가 만들어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. 유밀과는 불교행사인 연등회, 팔관회 등 크고 작은 행사에 반드시 고임상으로 올려졌다.

유밀과는 기름과 엿기름 또는 꿀을 이용한 기호식품이었다. 또한 왕이 행차할 때 고을이나 절에서 진상품으로 올리기도 했던 고급 제품이었다. 그런데 고려에서는 끊임없이 유밀과를 금지하는 명령을 내린다. [고려사] 형법금령에는 유밀과를 만드느라 곡물, 꿀, 기름 등을 허비함으로써 물가가 오르고 민생이 말이 아니므로, 유밀과의 제조를 금지하고 나무열매를 쓰도록 했다는 내용이 있을 정도로, 유밀과는 고려시대에 큰 인기를 끌었다. 그리고 작은 고을이나 사찰등에서 임금에게 진상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임금이 받는 어상을 비롯해 의례 음식과 양반과의 기호품으로 주목받게 되었다.

 

첨부파일
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.
댓글 수정

비밀번호 :

/ byte

비밀번호 : 확인 취소

댓글 입력
댓글달기 이름 : 비밀번호 : 관리자답변보기

영문 대소문자/숫자/특수문자 중 2가지 이상 조합, 10자~16자

/ byte

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.(대소문자구분)

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.